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o5IdYn3fHiY2bT3GG
본문 바로가기
건강/이론

오렘의 자가간호이론

by 큰바다다 2023. 12. 16.
반응형

오렘의 자가간호이론은 미국의 간호학자 Dorothea E. Orem이 개발한 간호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 이론은 환자가 자신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있습니다.

 

다음은 오렘의 자가간호이론의 핵심 개념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자가간호 (Self-Care)

오렘은 자가간호를 개념의 중심으로 두었습니다. 이는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가간호란 건강유지, 증진을 위해 개인과 지역사회에 의해 시도되고 수행되는 활동으로 개인이나 지역사회가 자신의 삶, 건강, 안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시도되고 수행하는 행위라고 하였으며, 인간의 구조적 통합과 기능의 활성화, 인간 발달과 관련된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행위로 설명하였습니다. 이것은 대상자가 개인의 건강,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스로 수행하는 활동이며 기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와 본인의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하는 활동입니다. 자가간호를 통해 대상자가 도달하려는 목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치료적 자가간호는 자가간호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일정시간 시행하는 자가간호활동입니다. 

 

자가간호요구

  • 일반적(보편적) 자가간호요구: 쉬고싶다, 자고 싶다 등과 같은 일반적인 것들을 말합니다. 
  • 일반적(보편적) 자가간호요구: 쉬고 싶다, 자고싶다 등을 말한다. 
  • 발달적 자가간호요구: 발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요구 로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해야 할 것, 결혼하면 해야 할 것 등을 말한다. 
  • 건강이탈적자가 간호요구: 질병. 상해로 인해 발생하는 요구입니다. 
  • 자가간호능력(역량): 자가간호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말합니다. 
  • 대부분 자간호요구와 자가간호능력(역량)이 균형을 이루면 건강하다는 것입니다. 
  • 자가간호요구에 비해 자가간호역량이 부족할 때 자가간호 결핍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 자가간호결핍현상이 일어날 때 이것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간호사의 힘을 간호역량이라 할 수 있다. 
  • 간호사 간호체계를 설계를 통해 이러한 결핍 현상을 해결합니다. 

 

간호체계의 종류

  • 전체적 보상체계: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의 무의식 환자처럼 자가간호를 거의 못하는 경라고 보면 되며 전적으로 대상자를 위해 모든 것을 수행해야 하는 보상체계입니다. 
  • 부분적 보상체계: 자가간호에 도움이 되도록 간호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수술하고 나온 환자에게 간호사가 호흡이나 기침하는 법을 설명하면서 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주는 것입니다. 
  • 지지적 교육체계: 의사결정, 소설, 지식 등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자가간호의 구성요소 (Components of Self-Care)

  • 자기 관찰 (Self-Observation): 개인은 자신의 상태와 e요구)를 인식하고 관찰해야 합니다.
  • 자기 평가 (Self-Evaluation): 개인은 자신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행동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자기 조절 (Self-Regulation): 개인은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렘이론의 메타패러다임:

간호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호학의 메타패러다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메타패러다임은 한 분야의 핵심적인 개념과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개념적 틀입니다. 오렘이론은 다음의 메타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 환자 (Person): 오렘의 관점에서 환자는 자가간호 능력을 가진 개인으로서, 생리적, 정신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아우르는 광범위한한 개념으로 간주됩니다.
  • 환경 (Environment): 환경은 개인이 상호작용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환자의 자가간호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나타냅니다.
  •  건강 (Health): 오렘은 건강을 자가간호 능력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간호 (Nursing): 간호는 개인이 자가간호 능력을 유지하거나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오렘 이론의 평가

오렘의 이론은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습니다

  • 실제적 타당성 (Practical Validity): 이론이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합니다. 이론이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효과가 있는지를 고려합니다.
  • 예측력 (Predictive Power): 이론이 예측할 수 있는 범위와 정확도를 평가합니다. 실제 상황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 적용성 (Applicability): 다양한 간호 분야에서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양한 상황에 유용한지를 평가합니다.
  • 유연성 (Flexibility): 이론이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적응 가능한지를 평가합니다. 변화하는 간호 실무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지를 고려합니다.
  • 학문적 타당성 (Scholarly Soundness): 이론의 학문적인 기반과 근거가 충분하게 갖추어져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이론이 간호학의 학문적인 토대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합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오렘의 이론이 간호 실무와 이론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오렘의  자가간호이론은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행하는 활동에 중점을 둔 이론입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생활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활동으로부터 파생되며, 간호사는 개인의 자가간호능력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반응형